본문 바로가기

미디어 정보

영화 의뢰인 결말은 반전과 묘한 심리적 박탈감을 가져온다.

반응형

영화 의뢰인 결말은 반전과 묘한 심리적 박탈감을 가져온다.

 

개인적으로 법정영화를 좋아하는 지라

2011년에 나와서 제법 인기를 누렸던 '의뢰인'도 당연히 시청했습니다.

이 영화에서는 남녀 간의 사랑이나 예쁜 여자 배우에 대한 기대는

일단 제쳐두는 것이 좋겠습니다.

 

하지만, 하정우나 성동일, 장혁 등의 쟁쟁한 배우들이 나오기 때문에

아주 실감나고 품격있는 연기를 기대하기에는 충분합니다.

 

한철민의 아내가 죽자 검사 측에서는 그가 범인일 것이라는 추측을 하게 됩니다.

평소에 두 사람이 그다지 관계가 좋지 않았다는 증언이 있었고,

한철민의 인상에서 선하기 보다는 뭔가 범죄형의 어두운 느낌이 강했기 때문이죠.

 

솔직히 말하자면 아내의 살해에 대한 정확한 증거는 없었으나

다양한 정황 상으로 그가 가장 유력하다는 것입니다.

 

그는 구치소에서 목을 메어 자살을 시도합니다.

이 부분에 대한 해석으로 자신의 살해에 대한 의혹의 부당함을

그가 목숨을 걸고 이야기 하려는 의지로 보입니다.

 

이때 비록 재판에서 이기기는 어렵다고 생각하지만,

강성희의 상황이 안됬다고 여기고 강성희는 그의 변화사를 맡기로 결심합니다.

 

한편, 법정에서 검사 측과 변호인 측의 증언을 살펴보면,

거의 모든 내용이 피고인에게는 불리하게 흘러갑니다.

 

그가 살인범이라는 확실한 증거는 없으나,

그것을 증명하기도 어려운 상태입니다.

 

하지만 한철민 부인의 죽음에 관련한 주변인들은

그가 살해했을 가능성이 유력했다고 주장했고,

살해당하기 전의 다양한 사건들을 살펴봐도,

어느 누구도 그가 가장 유력한 용의범이라는 사실을 부인하기는 어려운 상황입니다.

 

번호사 강성희는 피고인이 비록 인상이 좋지 못하고,

다양한 정황들에서 살해범일 가능성이 높지만,

그렇다고 해도 증거를 중시하는 법의 성격상

한치라도 오류가 있으면 안되므로 그에 대한 편견을 버려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그리고 지금 문밖에 아내가 서 있으며 숫자를 세면 그가 들어올 것이라고 합니다.

이때 법정의 모든 참가자들은 혹시나 살아있을 지도 모를

그녀가 입장하지 않았나 싶어서 고개를 돌려봅니다.

 

물론 이미 죽은 아내가 살아서 법정으로 들어올 리가없겠죠.

이때 강성희는 문쪽으로 고개를 돌린 분들은 혹시라도 피고인이 모죄일지라도 모른다는

일말의 의심을 했다는 증거라고 이야기 합니다.

결국 모든 사람들은 피고인이 살인자로 의심을 했지만,

한편으로는 그것이 사실이 아닐지도 모른다는 의혹을 가졌다는 의미입니다.

 

그렇게 한철민은 증거가 부족하다는 이유로 무죄로 풀려나게 됩니다.

 

하지만 재판이 마친 후에 검사는 변호사에게 다가가서

조금 전에 문쪽을 쳐다보지 않은 사람이 딱 한명있었다고 이야기 합니다.

 

그것은 바로 피고인이었던 한철민입니다.

(그는 이미 아내가 죽었다는 아는 살해범이기 때문에

뒤에서 그녀가 들어올 것이라는 기대를 하지 않았다는 거죠.)

 

한편 강성희 변호사는 한철민이 유죄인 증거를 포착하게 되었고,

그것을 검사에게 넘기게 됩니다.

그의 의뢰인이었지만 자신의 실수로 살해범을 놓치는 것을 원하지 않았기 때문이죠.

 

이 영화를 보는 내내 한철민은 억울한 누명을 쓰고 살인용의자로 지목이 되었고,

관중들은 그러한 그를 강성희 변호사의 재치로 풀려나기를 바랬습니다.

 



 

하지만 그가 재판에 이겼음에도 오히려 그것이 실수였다는 반전이 나타나게 됩니다.

이 순간 전체적인 모든 내용들이 뒤집히는 상황이 발생하고,

끝나는 순간까지 관중들은 반전에 의한 정신적인 혼란을 벗어나지 못합니다.

 

하지만 그것이 진정한 이 정화의 매력이 아닐까 생각됩니다.

 

반응형